리스트 예시: 게시물이 존재할 경우 3건을 노출합니다.
-
sql_tuning
Section2. 데이터베이스 블록(Database Block)의 이해
[출처: 오라클 성능 분석과 인스턴스 튜닝 핵심 가이드] Database Block의 정의 - DB 데이터 검색과 저장의 가장 기본 단위 (8K, 16K, 32K, 64K) - 한번 만들면 변경 할 수 없음 - 모든 DB I/O는 DB Block 단위로 수행 - 보통 Block 당 평균 수십 개의 레코드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구성 - 단 하나의 레코드를 읽을 지라도 최소한 1 Block 은 Access 해야 함 *백만 개의 Record를 가지는 두 개의 테이블이 있다. 검색 속도는 서로 동일한가? - 다를 수 있음. - T1 은 컬럼이 100개고 T2는 컬럼이 10개라면, T1의 면적이 훨씬 큼. - I/O 는 데이터베이스 블락 단위로 일어나며, I/O 횟수는 면적에 비례함. - 따라서 T1 검색 속..
-
sql_tuning
Section3. SID와 SERVICE_NAME 개념 그리고 DB_NAME과 GLOBAL_DBNAME 개념 설명
[출처: 오라클 성능 분석과 인스턴스 튜닝 핵심 가이드] SID, SERVICE_NAME, DB_NAME, GLOBAL_DBNAME 구분 SID는 Instance의 고유명을 나타냄 예를 들면 RAC에서 여러 인스턴스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 하는 것이 SID. SERVICE_NAMES 는 개념적으로 DB에서 서비스 되는 Database 서비스명을 의미, 일반적으로 1개 또는 여러 개의 Instance가 결합되어 서비스 가능. 예를 들면 그림에서 사용자가 ORCL Service 접속 시 Service_NAME: ORCL 임을 확인 후 리스너가 ORCL_01 또는 ORCL_02 인스턴스에 보내줌. 예전에는 SID로 서비스를 찾아갔는데, 문제는 하나의 인스턴스가 죽으면 다른 인스턴스 SID를 모를 경우 서비스를 ..
-
sql_tuning
Section4. Buffer_Cache Hit_Ratio의 이해 및 문제점
[출처: 오라클 성능 분석과 인스턴스 튜닝 핵심 가이드] Buffer Cache Hit Ratio 시스템이 얼마나 Disk I/O를 줄이고 Buffer Cache를 잘 활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Hit Ratio = (1 - (Physical reads / Logical Reads ) ) * 100 Logical Reads: Buffer Cache Block 액세스 수 Pyhsical Reads: Disk Block 액세스 수 Buffer Cache Hit Ratio 통계 함정 (1) Buffer Cache Hit Ratio 99% 이면 전반적인 SQL 수행속도가 양호한 것일까? 100,000의 1% VS 1,000,000,000의 1% ->십만의 1%는 천, 그러나 십억의 1%는 천만. 이 천만이..